반응형 산업안전52 산업안전사고예방 - 절연물 과열 시 구분방법 및 정비요령 1. 전기설비 절연물의 과열유무 판정에 대한 기준을 익혀 절연물의 손상으로 인한 고장파급 및 산업안전재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설비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각종 케이블(Power 케이블, 제어 케이블)의 절연상태 및 케이블 단자 접속부 절연상태 판정에 적용한다. 2. 정비 전 점검사항 1) 최신 개정판 도면을 지참하여 점검 시 참고한다. 2) 검교정 유효기간 이내의 측정장비를 사용한다. 3) 작업에 적절한 조도를 확보한다. 3. 적정 공기구 및 안전장구 확보 1) 디지털 멀티메터(DMM) 2) 절연저항계 3) 복사 온도계 4) 검전기 5) 비닐 절연 테이프 6) 작업등 4. 주의사항 1) 절연저항 측정시 전원차단 상태를 검전기 또는 디지털 멀티메터를 사용하여 반드시 확인 후 작업을 실시한다. 2) 케.. 2022. 10. 20. 산업안전사고예방 - 고소작업 정비 시 주의사항 1. 설비점검 시 고소작업 및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굴하여 정비원과 설비의 인적/물적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의식을 고취하여 안전사고 ZERO화로 일관성 있는 정비체제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2. 정비 전 점검사항 1) 고소작업 시 유의사항을 숙지한다. 2) 비계설치 시 정차 및 지침을 숙지한다. 3) 안전보건 11대 기본수칙을 상기한다. 4) 잠재위험 요소를 사전 발굴한다. 5) 중량물 안전수칙 및 절차서를 숙지 후 배치한다. 6) 작업시작 전 사전 모의시험(TBM & PJB 포함)을 수행한다. 7) 안전장구 및 기구의 건전성을 확인한다. 8) 바닥의 상태를 점검하고 미끄러질 수 있는 요인은 제거한다. 3. 적정 공기구 및 안전장구 확보 1) 안전화, 안전모, 안전벨트 등 2) 비계설치 관련 .. 2022. 10. 19. 산업안전사고예방 - 검전기 사용법 1. 전로의 충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인 검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혀 산업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2. 사용 전 준비 1) 검전기 외관, 구조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2) 테스트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테스트 위치로 검전기를 설정하여 검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3) 사용전압에 적당한 감도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4) 검전기가 저항식인지 유도식인지 확인한다. 5) 검전기의 사용전압을 확인한다. 3. 검전기 종류 1) 고압 검전기 2) 활선 근접 검전기 3) 특고압 비접촉식 검전기 4) 휴대용 저압 검전기 4. 검전 방식 1) 검전 방식에는 유도식과 저항식이 있다. 저항식은 주로 저압에서 많이 쓰이며 충전부에 접촉 시 동작한다. 유도식은 충전부에 근접 시 동작한다. 2) 검전기.. 2022. 10. 18. 산소결핍장소에서의 작업안전 1. 산소결핍에 의한 재해의 특징 산소결핍이라 함은 공기중의 산소농도가 18%미만인 상태를 말하며, 산소결핍증이란 산소가 결핍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산소결핍에 의한 재해는 잠항·기초갱, 청과물 창고, 탱크, 선창 등의 통풍이 불충분한 작업환경에서의 작업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산소결핍증이나 황화 수소중독 등은 지하철 터널공사 등의 토목공사업 같은 공기의 유통이 좋지 않은 지하 작업, 화학공업, 청소업, 식료품 제조업, 종이·펄프제조업 등 탱크내 작업이나 폐쇄공간에서의 작업 등 많은 업종에서 다발하고 있음은 물론 광범위한 종류의 업종에 걸쳐 발생 하고 있고 또한 다양한 규모의 사업장으로 확산되고 있다. 산소결핍에 의한 사고는 사망 위험이 다른 가스중독 등에 비해서.. 2022. 10. 14.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