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

산업안전사고예방 - 절연물 과열 시 구분방법 및 정비요령

by 홆빵뽱쀵쁭뾩뿅뻉삉뿡뺭 2022. 10. 20.
반응형

1. 전기설비 절연물의 과열유무 판정에 대한 기준을 익혀 절연물의 손상으로 인한 고장파급 및 산업안전재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설비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각종 케이블(Power 케이블, 제어 케이블)의 절연상태 및 케이블 단자 접속부 절연상태 판정에 적용한다.

2. 정비 전 점검사항

1) 최신 개정판 도면을 지참하여 점검 시 참고한다.

2) 검교정 유효기간 이내의 측정장비를 사용한다.
3) 작업에 적절한 조도를 확보한다.

3. 적정 공기구 및 안전장구 확보

1) 디지털 멀티메터(DMM)
2) 절연저항계
3) 복사 온도계
4) 검전기
5) 비닐 절연 테이프
6) 작업등

4. 주의사항

1) 절연저항 측정시 전원차단 상태를 검전기 또는 디지털 멀티메터를 사용하여 반드시 확인 후 작업을 실시한다.
2) 케이블 접속상태 점검 시 무리하게 케이블을 흔들지 않도록 한다.

5. 케이블 육안점검(외관상태 및 온도 점검)

1) 점검을 실시할 케이블 번호를 확인한다.
2) 해당 케이블이 설치된 루트를 따라 케이블의 변색여부 및 아크발생 흔적을 확인한다.
3)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온도점검을 실시한다.
4) 온도 관리제를 이용하여 운전 중 케이블 온도를 점검한다.

6. 케이블 절연저항 측정

1) 먼저 전원이 Off 되어있는지, 조작금지 태그(Tag)가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 후 케이블의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2) 검전기를 사용하여 부하측이 무압 상태임을 확인한다.
3) 선로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 전하를 방전시킨다.
4) 절연저항계를 파단기의 후단 또는 케이블에 연결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필요 시 부하측의 단자를 해체하여 케이블만의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5) 절연저항 측정 시 직류 인가전압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정격전압(V) 인가전압(V)
< 1000 500
1000 ~ 2500 500 ~ 1000
2501 ~ 5000 1000 ~ 2500
5001 ~ 12000 2500 ~ 5000
> 12000 5000 ~ 10000

6) 정격 전압별 직류 인가전압 및 판정 기준

정격전압(V) 인가전압(V) 판정기준
480 500 1M2+kV[M2]이상
4160 2500 "
13800 5000 "


7. 단자 접속부 열화상태 및 부식상태 점검

1) 단자 접속부의 열화상태 및 부식 상태를 점검한다.

2) 단자 접속부위에 이물질이 있는지 점검하고 필요시 이물질을 청소한다.

8. 터미널러그 열화상태 및 압착상태 점검

1) 터미널러그의 열화 상태를 점검한다.
2) 케이블과 터미널러그 간 압착 상태를 점검한다.
3) 이상이 있을 시 절연튜브를 이용하여 절연 보강을 하거나 러그를 교체한다.

9. 정비완료 후 확인사항

1) 분리한 케이블이 정확하게 결선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케이블 단자조임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단자조임을 실시한다.
3) 판넬 내부에 공기구 및 이물질이 남아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4) 점검 완료 후 조작금지 태그(Tag)를 제거한다.
5) 복귀 후 관련기기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