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로의 충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인 검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혀 산업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2. 사용 전 준비
1) 검전기 외관, 구조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2) 테스트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테스트 위치로 검전기를 설정하여 검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3) 사용전압에 적당한 감도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4) 검전기가 저항식인지 유도식인지 확인한다.
5) 검전기의 사용전압을 확인한다.
3. 검전기 종류
1) 고압 검전기
2) 활선 근접 검전기
3) 특고압 비접촉식 검전기
4) 휴대용 저압 검전기
4. 검전 방식
1) 검전 방식에는 유도식과 저항식이 있다. 저항식은 주로 저압에서 많이 쓰이며 충전부에 접촉 시 동작한다. 유도식은 충전부에 근접 시 동작한다.
2) 검전기 사용 목적은 작업 실시에 앞서서 기기설비나 전로등의 충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로 충전된 회로에 사람이 접촉함으로써 생기는 재해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검전기의 검출 표시 방식에는 발광식, 발음식, 발음광식, 풍차식 등이 있으며 검출대상 전압별로는 저압용 고압용, 특별고압용 등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자회로식 검전기의 내부 구조는 검전기 내부에 전지와 반도체 전자 증폭회로를 내장, 미약한 검출전류를 내장회로에서 증폭하여 보기 쉬운 표시등을 점등시키거나 스위칭회로와 발신회로를 사용하여 음성주파수로 변환하여 확인하기 쉬운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충전, 정전을 판별한다. 또한 전지와 내장회로의 양부를 간단히 체크할 수 있는 버튼이 있어 검전기의 기능유지 및 확인이 용이하다.
5. 일상적인 순회 점검 시 사용법
1) 일상적인 순회 점검 시에는 고압 큐비클 등의 도어 핸들부, 전기기기의 케이스부 등에 저압검전기를 대고 전압의 유무를 확인 하여 전기기기에 누전 등의 이상이 없는가를 판단한다.
2) 일반 전압회로 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에는 접지가 되어 있으므로 대지와 동전위의 상이 있다. 따라서 무충전으로 오인하지 않기 위해서도 전상을 검전할 필요가 있다.
6. 사고사례
작업자A가 감독자가 전동기 절연저항 측정요청을 해서 차단기실에서 작업자 B를 만나기로 하고 대기자 2명이 현장에 도착했지만 작업자B가 다른 급한 일이 생겨 차단기실에 없었다. 하지만, 작업자B가 이미 해당 차단기를 랙 아웃 및 차단기 뒷면의 점검창도 열어 놨으니 절연 저항을 측정하고 결과를 알려 달라는 요청을 받게 되었다. 그래서 차단기 앞면에 차단기가 랙 아웃된 것을 확인하고 차단기 뒷면으로 돌아가니 점검창 하나가 열려 있어 "저거구나" 하고 절연저항계의 조작버튼을 누르는데 "퍽" 하고 절연저항계가 소손 되었고, 4,160V의 매우 높은 전압이 가압되어 하마터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뻔 했던 사고아차사례가 있다.
1) 사고원인은 작업자B가 차단기 전/후면 기기명과 번호를 정확히 확인 못하고 옆 점검창을 Open 해서이다. 작업자B만 믿고 차단기 후면 명판을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고 검전기는 휴대했지만 열어 놓은 것이 맞겠지 하고 검전 확인 미실시한 것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차단기 전/후면 명판 글씨가 적고 기기별 곤란하였고 차단기 후면 점검창 옆에 기기명이 없었다.(상부에 있음) 그리고 정신적으로 혼미한 상태의 취약 시간대에 절연측정실시 요청하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2) 조치내용
절연저항 측정은 반드시 차단기를 랙 아웃하고 차단기 뒷면의 점검창의 열쇠를 Open 후 작업자는 기기명 재확인 및 검전 확인 후 절연저항을 측정하고 검전 확인 및 안전수칙 준수하도록 한다.
7. 정전작업 시의 검전기 사용방법
1) 작업 전에 개폐기의 상태, 전로상태, 정전작업 범위 등을 도면을 검토하여 확인한다.
2) 검전기의 검출 동작이 정상인 것을 확인하기 위해 충전부에서 검전을 실시하여 검전기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한다.
3) 정전 후에는 각 상마다 검전을 하여 검전 누설이 없도록 주의한다.
4) 고압전로를 검전할 때는 반드시 고압 절연장갑을 끼고 검전을 실시한다.
8. 검전기의 점검과 관리
1) 육안점검에 의해 검전기의 파손, 오염, 균열 등이 없는지 점검한다.
2) 검전기 체크 등으로 검출동작이 정상인가를 확인한다.
3) 전지내장 검전기는 테스트 버튼으로 내부회로 및 전지전압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사고예방 - 절연물 과열 시 구분방법 및 정비요령 (0) | 2022.10.20 |
---|---|
산업안전사고예방 - 고소작업 정비 시 주의사항 (0) | 2022.10.19 |
산소결핍장소에서의 작업안전 (0) | 2022.10.14 |
산업안전재해와 산업안전보건교육 (0) | 2022.10.12 |
산업재해 발생 이론 두 번째 (0) | 2022.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