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기맨홀 EDB(Electrical Duct Bank)는 케이블 인입, 인출 등의 공사 및 점검, 기타 부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지중선로의 중간이나 말단에 설치하는 상부에 출입구를 가진 지하 구조물로 구조물의 건전성 및 케이블, 전선관의 노후 부식 침식 손상 유무를 점검하여 전기설비의 신뢰도를 확보한다.
2. 전기 통신 계측 케이블을 수용한 전기맨홀 일반점검 및 전기설비 증설 및 교체 공사 중 전기맨홀을 관통하는 케이블 포설작업에 적용한다.
3. 정비 전 점검사항
1) 전기맨홀의 위치 도면 및 번호를 확인한다.
2) 작업 전 전기맨홀 주위에 안전 Fence를 설치한다.
3) 산소농도 측정기를 준비한다.
4) 작업 안전 감시인을 선임한다.
5) 적절한 작업조명을 확보한다.
6) 작업자는 안전모, 안전화, 안전대를 작용한다.
4. 적정 공기구 및 안전장구확보
1) 전공 칼
2) 맨홀커버 개방용 Special Tool
3) 측정장비(전류계, 검전기, 접지저항계)
4) 조명등
5) 안전 장구(산소농도 측정기)
6) 절연 사다리
7) 이동용 수중 P/P
8) 누전차단기 부착 케이블 릴
9) 실리콘 실란트
5. 정비포인트
1) 맨홀 내부 빗물 유입 여부 확인
2) 구조물의 접지선 연결상태 확인
3) 케이블 및 전선관 상태 확인
4) 구조물의 균열, 파손상태 확인
5) EDB 미사용관통부 밀봉상태 점검
6. 주의사항
1) 전기맨홀 점검 시 산도 농도가 18% 이하일 경우 맨홀내부 출입을 금지한다. 단, 긴급작업을 수행할 경우 맨홀내에 산소를 불어 넣어 산소농도를 유지한(18% 이상) 후 공기 마스크를 작용 후 작업을 실시한다.
2) 전기 맨홀 내부 점검 시에는 작업자와 별도로 외부에 안전 감시인을 배치하여야 한다.
3) 전기 맨홀 케이블 점검 시 케이블의 피복의 손상 등으로 방전이 발생하고 있을 때는 케이블에 접촉을 하지 말고 안전대책을 강구한 후 작업을 한다.
7. 정비방법
1) 점검 할 전기맨홀 번호가 도면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2) 작업 전 전기맨홀 주위에 안전 Fence 설치한다.
3) 전공 칼을 이용하여 맨홀커버의 실리콘 실란트를 제거한다.
4) 맨홀커버 개방용 Special Tool를 이용하여 맨홀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를 개방한다.
5) 산소 농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맨홀 내부 산소 농도를 측정한다.
6) 산도 농도 측정이 끝나면 조명등을 이용하여 맨홀 내부에 빗물 등이 유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7) 전기 맨홀 내부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이동용 수중 P/P를 이용하여 배수를 실시한다.
8) 배수 작업 후 절연 사다리를 견고하게 설치한다.
9) 작업자는 개인 안전장구를 철저히 착용 후 2인 1조로하여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실시한다.
10) 전기맨홀 내부 구조물 균열 및 파손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11) 구조물 점검 중 정밀점검이 필요한 균열 등이 발견되면 감독부서와 협의하여 관련부서에 정밀점검을 의뢰한다.
12) 구조물 점검이 끝나면 케이블의 부식, 침수, 이물질의 오염 및 케이블 손상으로 인한 방전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 후 케이블의 이물질을 마른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한다.
13) 케이블이 심각하게 경년열화 또는 손상되었을 때 감독부서와 협의하여 대책을 수립한다.
14) EDB 전선관을 육안 점검하여 부식 및 파손 상태를 확인하고 부식되어 있을 경우 방청 작업을 실시한다.
15) EDB 전선관에 관 막음한 DUCT SEAL이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이상이 있을 때는 교체한다.
16) EDB 전선관에 미사용 관통부 밀봉상태를 확인하고 추가적인 밀봉이 필요한 개소는 밀봉작업을 수행한다.
17) 전기맨홀 구조물의 접지선 체결상태를 확인하고 접지 저항을 측정한다. 맨홀 접지는 제1종 접지로 접지 저항치는 162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18) 모든 작업이 끝나면 전기맨홀 내부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한다.
19) 전기맨홀 내부를 한 번 더 육안 점검 후 작업자는 전기 맨홀 외부로 나와 절연사다리를 철거한다.
20) 전기맨홀 커버가 균열 또는 파손되었을 때 교체한다. 3.21 맨홀커버 개방용 Special Tool를 이용하여 맨홀 내부와 외부 커버를 닫은 후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해 실리콘 실란트로 외부 커버를 밀봉한다.
8. 정비완료 후 확인사항
1) 맨홀커버의 밀봉상태를 확인한다.
2) 빗물 등의 유입량을 개략적으로 확인 후 점검표에 기록한다.
3) 전기맨홀 내부 빗물 및 지하수 유입량이 많은 곳은 점검주기를 단축하여 배수 작업을 수행하도록 점검표에 기록한다.
4) 전기맨홀의 구조물, 케이블, 전선관의 이상 유무를 자세히 기록한다.
9. 사고사례
1) 전기맨홀 정비 중 맨홀주위 누수방지용 실란트 제거 후 지렛대를 사용하여 맨홀커버 개봉, 맨홀커버 주위 남아있는 실란트 제거 후 맨홀내부에 배수펌프를 내리는 순간 작업자가 중심을 잃고 펌프와 같이 추락 한 사례가 있다.
2) 사고 원인
- 배수펌프 안착용 안전발판 미확보
- 작업장 환경미흡(안전대 걸이 설비가 없음)
- 작업자의 안전의식 결여(반복작업 수행으로 안이한 생각)
3) 개선 및 반영의견
- 안전작업 발판 제작 설치
- 작업 전 위험예지훈련 시행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사고예방 - 수공구 안전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2.10.26 |
---|---|
산업안전사고예방 - 용접결함의 종류와 방지대책 (0) | 2022.10.25 |
산업안전사고예방 - 유압리프트 사용법 (0) | 2022.10.21 |
산업안전사고예방 - 절연물 과열 시 구분방법 및 정비요령 (0) | 2022.10.20 |
산업안전사고예방 - 고소작업 정비 시 주의사항 (0) | 2022.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