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안전52

산업안전사고예방 - 수공구 안전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1. 수공구는 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근로자에게 맞지 않는 수공구나 작업의 특성에 맞지 않는 수공구를 사용하면 근골격계 질환이나 신체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는 기업에 생산성 감소, 시간 손실, 품질 저하, 기업이미지 저하 등의 피해를 받게 한다. 수공구를 지침에 맞게 사용하여 근로자의 올바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든 기기의 분해, 조립 정비 작업 시 적용한다. 2. 위험요인 체크 포인트 - 수공구는 우리의 신체의 일부라는 생각으로 안전하게 사용해야 한다. - 수공구를 잘못 사용하면 비래 및 낙하에 의한 사고가 발생한다. - 부적절한 수공구 사용 작업으로 고소 작업 시 추락에 의한 설비의 손상 및 사람이 다칠 수 있다. 3. 스패너(렌치류) 안전.. 2022. 10. 26.
산업안전사고예방 - 용접결함의 종류와 방지대책 1. 용접균열(weld crack)은 용접부에 생기는 치명적인 결함으로서 어떠한 작은 균열도 부하가 걸리면 응력이 집중되어 미세한 균열이 점점 성장하면서 커지면서 마침내는 파괴를 가져오는 무서운 것으로 균열을 발견하면 반드시 그 부분을 파내고 보수용접을 하여야 한다. 용접결함은 홈의 형상이나, 용접봉선택이 부적당할 때 발생될 수도 있지만 주로 용접전류, 아크 길이, 운봉법 등 용접사의 기능에 좌우되는 수가 많으므로 용접시는 용접에 관한 전문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난 다음 작업을 해야 한다. 이러한 용접균열 및 용접결함의 발생에 대한 지식을 갖춤으로서 설비 정비 시 용접균열의 발생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용접균열의 발생 원인 1) 수소에 의한 균열 강 용접부의 균열은 수소(H)에 의한 경우가 많.. 2022. 10. 25.
산업안전사고예방 - 전기맨홀 정비 시 주의사항 1. 전기맨홀 EDB(Electrical Duct Bank)는 케이블 인입, 인출 등의 공사 및 점검, 기타 부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지중선로의 중간이나 말단에 설치하는 상부에 출입구를 가진 지하 구조물로 구조물의 건전성 및 케이블, 전선관의 노후 부식 침식 손상 유무를 점검하여 전기설비의 신뢰도를 확보한다. 2. 전기 통신 계측 케이블을 수용한 전기맨홀 일반점검 및 전기설비 증설 및 교체 공사 중 전기맨홀을 관통하는 케이블 포설작업에 적용한다. 3. 정비 전 점검사항 1) 전기맨홀의 위치 도면 및 번호를 확인한다. 2) 작업 전 전기맨홀 주위에 안전 Fence를 설치한다. 3) 산소농도 측정기를 준비한다. 4) 작업 안전 감시인을 선임한다. 5) 적절한 작업조명을 확보한다. 6) 작업자는 안전모, 안전.. 2022. 10. 23.
산업안전사고예방 - 유압리프트 사용법 1.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장에서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유압리프트의 운전, 유지 관리 및 안전수칙 중에 관한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동식 유압리프트의 사용·운용 및 설치·철거에 적용한다. 2. 정비 전 점검사항 1) 작업장 주변의 위험한 지면, 물체, 건물 등에 주의하여 장비를 조작해야 한다. 2) 작동 전 장비에 대한 즉각적 교정이 요구되는 사항이 없는지 확인한다. 3) 운전자는 장비 용량의 한계를 숙지하여 허용 한계 내에서 작동한다. 4) 장비가 항상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며 최대 허용 한계 내에서 작동한다. 5) 붐 위를 걸어서 작업대에 들어가거나 작업대 안에서 나와 붐 위를 걸어서는 안 되며 작업대 내에서 사다리 등을 사용해서도 안 .. 2022. 10.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