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안전52

안전문화와 조직문화 안전문화는 구성개념의 범주에 속한다. 구성개념은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만들어낸 개념으로, 직접 보거나 만져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음식 '사과'와 용서를 구하는 '사과'를 비교해보면, 전자의 경우 직접 보거나 만질 수 있고 무엇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정확히 정의하기도 설명하기도 쉽지 않다. 안전문화 또한 분명히 존재하고 중요하지만 직접 관찰할 수 없기에 쉽게 설명이 어려운 구성개념이다. 그래서 사람마다 정의하는 바가 조금씩 다르기도 하다. 아주 간단하게 안전문화를 정의하자면 "안전과 관련된 조직문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직문화가 무엇인지 살펴보자면 이 역시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일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A에서는 일처.. 2022. 10. 5.
억측판단 및 초조반응 심리와 산업안전 억측판단 심리와 산업안전 장마철 여름날 아침, 출근하려고 길을 나서며 하늘을 보니 구름은 끼어있었으나 비는 올 것 같지 않아서 우산이 필요 없겠거니 판단하여도 그 추측은 그다지 맞지 않을 때가 많다. 일기예보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잠깐의 날씨만을 보고 우산이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난해한 일이다. 이처럼 불충분한 추측을 통해 괜찮겠지 라고 제멋대로 판단하는 것을 억측판단이라 한다.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이것은 판단이 아니고 추측의 일종일 뿐이다. 이전 포스팅에서의 근도반응에서의 불완전 행위에도 이 억측판단이 따른다. 철도 건널목에서 경고음이 울려도 기차가 오기 전까지 아직 시간이 있다고 멋대로 판단하여 건널목을 건너려는 등 억측판단을 일상에서 종종 실행하는 사람이 있다. 억측판단이 발생하는 배경에.. 2022. 10. 4.
인간의 심리로 살펴보는 산업안전 및 재해사고와 그 예시 산업안전 및 재해사고를 인간의 심리적 관점에서 예시를 들어 파악해보고자 한다. 주의와 부주의의 심리 사고가 발생하면 부주의 때문이다 라고 하는데 실상은 부주의 자체가 사고를 일으킨 것이 아니고 하나의 원인에 불과할 뿐이다. 만일 부주의가 사고의 원인이려면 부주의 할 때 마다 사고가 발생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중요한 포인트는 사고발생에는 어떤 위험요인과 개인의 부주의가 함께 엉켜있다는 것이다. 즉 재해사고와 관련된 공통적 요인은 기계설비 환경측의 요인과 관리상 요인, 인간측 요인이 함께 존재하는 것이다. 사고발생 현장에는 위험요인이 잠재하고 있고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부주의 한 결과에서 오는 사고가 있다. 사고를 줄이기 위해 결함을 발견하고 그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부주의를 분산하는 것이다. 부주의 .. 2022. 10. 4.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산업안전 인간공학적 관점으로 산업안전을 바라보기 위해 위험과 재난이 발생하게 되는 근원적인 이유 찾자면 크게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High Reliability Theory 고신뢰이론이고, 둘째는 Normal Accident Theory 정상사고론이다. 고신뢰이론에서는 알맞은 조직의 설계와 관리 기술의 정교화가 가능하다면 위험요소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고 본다. 그반면 정상사고론에서는 조직들과 그 조직 구성원들 사이의 이해관계 갈등이 존재할 수 있기에 조직은 정치사회적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개방체계로서의 속성을 반드시 갖는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고신뢰이론에서 주장하는 기술을 기본으로 하는 위험 해결책만으로는 총체적인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견해가 정상사고론이다. 고신뢰이론에서 제기하는 위험을 .. 2022.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