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측판단 심리와 산업안전
장마철 여름날 아침, 출근하려고 길을 나서며 하늘을 보니 구름은 끼어있었으나 비는 올 것 같지 않아서 우산이 필요 없겠거니 판단하여도 그 추측은 그다지 맞지 않을 때가 많다. 일기예보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잠깐의 날씨만을 보고 우산이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난해한 일이다. 이처럼 불충분한 추측을 통해 괜찮겠지 라고 제멋대로 판단하는 것을 억측판단이라 한다.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이것은 판단이 아니고 추측의 일종일 뿐이다. 이전 포스팅에서의 근도반응에서의 불완전 행위에도 이 억측판단이 따른다. 철도 건널목에서 경고음이 울려도 기차가 오기 전까지 아직 시간이 있다고 멋대로 판단하여 건널목을 건너려는 등 억측판단을 일상에서 종종 실행하는 사람이 있다. 억측판단이 발생하는 배경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1. 일을 일찍 끝내고 싶은 강한 욕망이나 귀찮음 초조함 등이 존재할 때.
2. 정보나 지식이 불완전하고 불확실 할 때. 특히 위험성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 재해사고를 원망하는 일이 많다.
3. 이전에 그 행위로 성공한 적이 있거나 문제가 없었다는 과거의 경험이 선입관으로 자리잡혀 있을 때.
4. 그때도 그랬으니 괜찮겠지 등의 희망적 관측이 강력할 때. 교통신호가 황색불에서 적색불로 바뀌는 순간 양옆에서 아무도 튀어나오지 않는다고 무리하게 진입하려다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판단이 아니고 자신의 입장만 생각하는 행동이 버릇으로 굳어져버린 것이다.
억측판단이 습관을 없애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도움이 된다.
1. 각자 어떠한 억측판단을 실행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개별특성을 생각하고 습관화 된 현상을 찾아 이해한다.
2. 이전에 성공했다는 경험자에게는 성공이 조건과 실패할 조건의 비교분석을 시키고 그것이 종이 한 장 만큼의 차이에 지나지 않음을 자각시킨다.
3. 불분명한 사항이나 모호한 상황에 처할 때 다른이에게 질문하여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적당히 하는 버릇은 버릴 것.
4. 하나하나 손가락으로 짚어가면서 일을 처리하거나 정해진 순서를 지키거나 순서를 정하는 등 모든 실행을 꼼꼼하게 수행하는 습관을 붙인다.
초조반응 심리와 산업안전
심리학자 드레이크는 인간측 재해사고 요인 특성으로 동작과 지각의 불균형을 가정으로 둔다. 사람이 무엇인가를 시각적으로 보고 판단을 통해 머리로 결정하고 손발로 움직이는 동작을 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 과정을 통해 행동할 때 사고를 일으키기 쉬운 사람은 시각에서 판단 순서를 거치지 않고, 보고 지각하는 순간 바로 동작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충분한 판단이 동반되지 않았으므로 적절한 동작이 되지 못하고 사고로 연결된다. 이런 경향이 있는 것을 초조반응이라 한다.
초조성은 일반적으로 작업에서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작업지시를 하기 위해 모두를 집합 시켰는데 이미 누군가 혼자서 일을 하고 있거나 높은 곳에서 무거운 도구를 내리려고 로프를 찾는 중인데 도구를 아래로 넌져 내리는 사람 등 모두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어떠한 일에 대해서 손을 빨리 쓰고 서두르는 타입은 인간측 위험요인을 가진 사람이라 볼 수 있다.
초조성이 강한 사람은 성격적 특성이기 때문에 이를 고치는 것이 매우 어렵지만 작업을 안전하게 끝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것을 주의깊에 볼 필요가 있다.
1. 단독 작업을 지양한다. 혼자서 작업할 땐 개인의 자주성에 맡겨지므로 초조반응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둘 이상의 조를 편성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초조형의 사람이 문제행동을 하려 하여도 제지하거나 억제할 기회를 만들어 주도록 한다.
2. 노력목표로 모든 동작을 실행하기 이전 두 번 이상 반드시 보도록한다. 예를 들어 종이컵에 커피를 탄다면 커피잔에 바로 손을 뻗는 것이 아닌 커피잔을 보고 뜨거운 물을 붓고 프림과 설탕 및 커피를 넣고, 스푼으로 젓고 모든 것이 들어갔는지 확인하는 식의 동작에 시간을 갖게 만든다. 그리고 무엇인가 할 때 그것을 입으로 지칭하거나 호칭하면 좋다. 커피를 마시겠습니다 라고 말하면 바로 피드백이 되어 본인 귀로도 들리고 제3자 또한 그가 동작하려는 사실을 알게된다.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재해 발생 이론 (0) | 2022.10.09 |
---|---|
산업재해 발생시 조치사항과 산업재해보상보험 보상처리 (0) | 2022.10.07 |
안전문화와 조직문화 (1) | 2022.10.05 |
인간의 심리로 살펴보는 산업안전 및 재해사고와 그 예시 (0) | 2022.10.04 |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산업안전 (0) | 2022.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