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대재해24

[산업안전교육자료] 밀폐공간 - 기준 및 법규, 질식사고, 작업안전수칙 질식재해 2명 중 1명 사망 요즘같은 봄철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식재해는 사망자가 50% 이상으로 2명 중 1명이 사망할 만큼 치명적입니다. 이처럼 높은 치사율의 산업재해인 밀폐공간 질식사고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안전 교육을 진행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밀폐공간 기준 및 법규, 질식재해(질식사고), 작업안전수칙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밀폐공간 기준 및 법규 밀폐공간 질식재해(질식사고) 밀폐공간 작업안전수칙 1. 밀폐공간 기준 및 법령 밀폐공간 기준 및 법규 정의 밀폐공간이란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① 산소 결핍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 또는 ② 인화성 물질에 의한 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합니다 산소결핍이란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상태를 말합니다. 질식이란 우리.. 2023. 4. 30.
[산업안전보건법] 핵심정리7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련 법규, 구성, 회의, 과태료 산업안전보건법 핵심정리 7편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사업장에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산업안전법 주요내용! 이번 주제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입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해 사업장에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이 같은 수로 구성하는 위원회입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련 법규, 구성, 회의, 과태료 총정리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회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과태료 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산업안전보건위원회)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4조(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대상) 제35조(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 제.. 2023. 4. 24.
[산업안전교육자료] 끼임재해 - 유형, 예방, 점검항목, 중대재해 매년 100명 씩 끼임재해로 사망!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현황분석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끼임재해로 인한 사망자는 566명이라고 합니다. 이는 한 해 100명을 웃도는 수치로, 끼임재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인식의 확산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끼임재해 유형, 예방, 점검항목, 중대재해 사례에 대한 총정리입니다. 산업안전교육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끼임재해란? 끼임재해 유형 끼임재해 예방 끼임재해 점검항목 중대재해 사례 1. 끼임재해란? 끼임재해란? 끼임재해는 두 물체 사이의 움직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움직이는 부분들 사이,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 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이 끼이거나, 물리거나, 말려 들어감으로 인해 발생하는 등 다양한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끼임재해 핵심요인 기.. 2023. 4. 23.
[산업안전보건법] 핵심정리6 -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관련 법규, 과태료 산업안전보건법 핵심정리 6편 -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정 및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우리 사회는 산업재해 예방에 더욱 힘쓰고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하는 산업안전보건법 주요 내용을 핵심정리 요약했습니다. 최근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규칙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관련 법규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과태료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관련 자료 1.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산업안전보건법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용어정의 안전보건관리담당자 : 상시근로자 20명 이상 50명 미만인 사업장에서 안전보건에 관하여 사업주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조언, 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 다만, 안전관리자 또는 보건관.. 2023.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