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

[산업안전사고예방] 안전대 - 착용, 점검, 사용 방법 알아보기

by 홆빵뽱쀵쁭뾩뿅뻉삉뿡뺭 2023. 4. 13.
반응형
이것만 알면 추락 사고·사망 예방!

 

산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유형은 추락입니다. 안전대를 착용만 한다고 추락으로부터 안전한 것이 아닙니다. 올바른 안전대 사용을 위한 안전대 착용, 점검, 사용 방법을 모두 지켜야만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목차]

  1. 안전대 착용 방법
  2. 안전대 점검 항목
  3. 안전대 사용 방법

 

 

 

1. 안전대 착용 방법

 

안전대 착용 방법 개요

 

  • 대부분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유형은 추락사고로 안전 조치가 미비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 의무적으로 추락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고소작업시 필요한 보호구들의 종류는 안전모, 안전대, 안전화 등이 있습니다.
  • 이 중 안전대에 대해서 알아보고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사전에 숙지하여 추락사고에 철저하게 대비 하도록 합시다.

 

안전대 착용 방법 규칙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44조
  • 안전대의 부착설비 등

 

안전대 착용 방법 확인사항

 

  • 안전대를 걸 수 있는 설비 설치 필요
  • 안전대 부착설비 사용 전 상태확인
  • 하나의 지지로프에 2명 이상 사용 금지
  • 로프는 2m 이내로 짧게 사용

 

안전대 착용 방법 순서

 

  1. 양다리에 그네식 안전대를 끼우고 들어올림
  2. 양어깨에 그네식 안전대를 끼움
  3. 가슴 조임줄을 채움
  4. 훅을 구명줄에 걸기
  5. 수직구명줄일 경우 훅을 안전대의 D링에 걸기
  6. 착용상태 이상유무 확인

 

안전대 착용 방법 그림

 

안전대-착용방법
안전대 착용 방법 순서

 

 

 

 

2. 안전대 점검 항목

 

안전대 점검 항목 종류

 

  • 벨트
  • 죔줄
  • 부속 철물

 

안전대 점검 항목 벨트

 

  • 재봉사의 손상여부
  • 벨트의 폭이 최대 15cm까지 넓어야 되며, 5cm 이하일 경우에는 허리에 고통을 줄 수 있다.
  • 추락 시 작업자에게 충격을 최소한으로 하고 발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요골 근처에 확실하게 착용하여야 한다.

 

안전대 점검 항목 죔줄

 

  • 마모로 인한 직경감소가 있는지 확인
  • 스트랜드가 절단되어 있는지 확인
  • 킹크되어 있는지 확인
  • 불에 탄 손상이 있는지 확인
  • 풀림이 있는지 확인

 

안전대 점검 항목 부속 철물

 

  • 훅의 스프링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 D링이 빠지거나 변형되어 있는지 확인
  • 각 부위에 손상과 느슨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

 

안전대 점검 항목 훅 높이

 

  • 가능한 고정위치 바로 아래에 근접된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여 진자 추락을 최소화하고 훅을 어깨 높이에서 거는 것이 좋다.
  • 발높이에서 걸면 어깨높이에서 거는 경우보다 충격하중이 약 2배 크게 작용한다.

 

안전대 점검 항목 훅 걸기

 

  • 훅은 지지물이 아닌 구명줄에 직접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 수평부재의 위로 걸리는 경우 훅이 절단 될 수 있다.

안전대-점검항목-훅
안전대 점검 항목 : 훅 걸기 바른 예

 

 

 

3. 안전대 사용 방법

 

안전대 사용 방법 ABC

 

  • Anchorage - 안전 고정점 확보
  • Body Support - 올바른 신체지지
  • Connectors - 안전대와 고정점 사이의 적절한 연결부재 사용

 

안전대 사용 방법 A

 

  • Anchorage : 고정점/고정장치
  • 안전대 연결장치를 체결하는 지점 또는 장치
  • 고정 스트랩, 빔 포스트, H빔 고정/슬라이딩 앵커, 지붕 앵커, 삼각지지대, 회전형 이동식 앵커, 파이프 앵커, 벽 고정 앵커 등

 

안전대 사용 방법 B

 

  • Body Support : 안전대
  •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부산시킬 수 있는 그네식 안전대 사용
  • 작업 종류에 맞는 형태의 안전대를 선택하되, 죔줄은 반드시 등 부위의 D링에 연결

 

안전대 사용 방법 C

 

  • Connectors : 연결 장치
  • 안전대를 고정점 또는 고정장치에 연결해주는 장치
  • 죔줄, 안전블록, 스냅훅, D링, 카라비너, 추락방지대/수직구명줄, 수평구명줄, 앵커훅/연장봉 등
  • 충격흡수장치가 부착된 죔줄은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대신 추락거리가 증가하므로, 고정점 연결 시 높이 계산에 유의

 

안전대 사용 방법 최하사점

 

  • H : 로프를 지지한 위치에서 바닥면 까지의 거리
  • h : 추락시 로프를 지지한 위치에서 신체의 최하사점까지의 거리
  • h = 로프의 길이 + 로프의 신장길이 + 작업자의 키(1/2)
  • H > h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추락으로 인한 중대재해 사고사례

 

[산업안전교육자료] 중대재해 사례 모음 - 협착, 추락, 깔림

2022년도 산업안전 중대재해 사례 모음 입니다. 산업안전교육자료 등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중대재해 사례 사고 종류는 ① 협착, ② 추락, ③ 깔림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오늘도 내일도 안전

hobbang-2.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