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전재해 예방지침
산업안전교육자료 등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산업현장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감전재해를 주제로 1, 2편으로 나누어 감전재해 유형, 원인, 증상, 안전점검, 예방, 응급조치 등에 대하여 총정리하였습니다.
- 1편 : 감전재해 유형, 원인, 증상, 안전점검
- 2편 : 감전재해 예방, 응급조치
[목차]
1. 감전재해 유형
감전재해 유형
- 습기가 많은 지하층에서 임시전선의 벗겨짐에 의한 감전
- 지하층에 설치된 투관등에 의한 감전
- 이동식크레인 등 중장비 붐대가 특고압선에 접촉 감전
감전재해 유형
- 길이가 긴 자재 운반 작업시 고압선에 접촉 감전
- 발전소 등 전기설비 작업 중 감전
- 교류아크 용접기를 사용한 작업중 감전
감전재해 유형
- 코아 드릴 및 고속절단기 등으로 구조물 절단작업 시 감전
- 양수기에 의한 감전
- 전기기계기구의 누전시 감전
감전재해 유형
- 외부 비계상에 걸린 임시전선에 의한 감전
- 전압선 측에 접촉되거나 선간에 접촉되어 감전
- 고압선의 전선로에 인체, 자재 또는 공구 등이 접근한계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감전
2. 감전재해 원인
감전재해 원인
- 임시배선의 바닥배선으로 인한 전선의 손상
- 충전전로 및 충전부의 감전방호조치 미실시
- 전기설비(기계, 기구) 및 임시배선의 접지 미실시
감전재해 원인
- 전기기계기구의 절연 상태 불량
- 화재폭발 위험장소에서의 방폭구조용 전기기계기구 미사용
- 콘센트형 누전차단기 및 전용 접속기구 미사용
감전재해 원인
- 크레인 등 건설장비와 가공전선로 접근 시 안전조치 미실시
- 이동식 전기기계기구의 감전방지조치 미실시
3. 감전재해 증상
감전재해 증상 현상
- 손상된 전선이나 전기공구에 작업자가 접촉하면, 전류가 인체로 흘러 감전현상을 일으키는데 이 때 인체는 전격을 받는다.
- 전압이 높을수록 감전 전류는 크고 ,물이 젖어 있는 경우는 무제한적인 전류가 흘러 아주 위험하다.
-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성인남자는 10-22mmA(1mmA는 100V 전압에 100W전구를 켰을 때 전류의 1/1000), 성인 여자의 경우 7-14mmA 이상이 되면 근육의 경련이 격렬해지고 신경이 마비되며, 운동의 자유가 없어진다.
- 성인 남자가 감전되어 심장으로 전류가 10mmA 이상 흐르면 심장의 경련을 일으켜 정상적인 박동을 하지 않게 되고, 전기를 끊어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고 혈액 순환 기능이 상실되어 사망하게 된다.
감전재해 증상 전격
- 맥박이 점점 빨라진다. 일정기간 후 급격히 약해져 결국은 느끼지 못한다.
- 피부가 거칠어지고 윤기가 없어진다.
- 이마에 식은땀이 흐른다.
- 몸이 점점 차가워진다.
- 불안, 초조, 심한 요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감전재해 증상 심실세동
- 후두부 맥박이 정지된다.
- 동공이 강하게 확대된다.
- 눈동자가 불빛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4. 감전재해 안전점검
감전재해 안전점검 접지 여부 확인
- 전동기 부착된 기계, 철제 배전함 및 분전함, Tower Crane, 수전시설의 보호울타리 등 반고정 상태로 사용되는 기계기구 접지봉 16mm 이상의 강철 철봉, 12mm 이상 구리 도금된 철봉길이는 2.4m 이상, 지하 75cm에 매설하고 동선으로 연결한다.
감전재해 안전점검 누전차단기 부착 및 활용
- 접지가 불가할 경우 매 전동기구마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드릴, 그라인더, 양수기, 둥근톱, 용접기 등)
- 배선재료 및 상태를 점검한다.
- 임시 조명등의 감전예방조치 상태를 점검한다.
- 전기용접기의 전격방지기 부착 및 작동상태, 홀더 파손여부를 점검한다.
- 콘센트 및 플러그의 안전성을 점검한다.(접지선 여부)
- 배전함 및 분전함 상태를 점검한다.(정격휴즈, 배건도, 시건장치, 관리감독자 지정 여부 등)
- 고압선 인접 작업시 안전조치 여부를 확인한다.
- 임시 수전설비를 점검한다.
- 낙뢰에 의한 피해방지대책을 강구한다.
감전재해 안전점검 안전관리 실시사항
- 정기적 현장 전기시설점검 및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 감전사고예방 안전표지판을 설치한다.
- 휴즈 사용을 철저히하고 접지선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전기사용 기기의 정리, 정돈 철저 및 청결을 유지한다.
- 전기기기, 기구사용 전후에 주변상태 및 기기상태를 확인한다.
- 물 묻은 손이나 발로 전기기기나 배선 접촉을 금지한다.
- 고압선 근처에서의 작업을 지양한다.
- 사고 발생 시 속히 전원을 끈 후 후속조치를 취한다.
- 방수형 등기구 및 소켓사용 상태를 점검한다.
- 전주의 파손 또는 경사여부/전선의 파손 처짐, 노후, 피복상태를 확인한다.
- 배전반, 분전반의 설치 및 운영상태를 확인한다.
- 전기기기, 기구의 용량 적정 여부를 확인한다.
- 전선 접속부의 상태를 확인한다.
- 작업언의 복장 및 안전보호구를 확인한다.
반응형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교육자료] 중대재해 사례 모음 - 감전, 떨어짐, 끼임 (0) | 2023.04.11 |
---|---|
[산업안전사고예방] 감전재해 2 - 예방, 응급조치 (0) | 2023.04.11 |
[산업안전사고예방] Seal Tape(씰 테이프) 종류, 특성, 장단점, 사용방법 (0) | 2023.04.10 |
[산업안전교육자료] 중대재해 사례 모음 - 협착, 추락, 깔림 (0) | 2023.04.10 |
[산업안전교육자료] 중대재해 사례 모음 - 충돌, 폭발, 감전 (0) | 2023.04.10 |
댓글